'분류'에 해당되는 글 33건

  1. 2018.05.09 이클립스에서 톰캣 사용하기
  2. 2018.05.09 Java
  3. 2018.05.09


이클립스에서의 톰캣 설정

  • 상단 Windows -> Preference -> Server -> Runtime Environment -> Add -> Tomcat 9.0 선택 -> 설치된 디렉토리(C:\users\Bit\server\tomcat9) 주소 선택 -> 적용


'프로그래밍 > 개발환경 설정 및 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개인 db사용(aws 연동시)  (0) 2018.07.18
Java  (0) 2018.05.09
  (0) 2018.05.09
Posted by kingroad

도스상 플레이어 실행법 :  "[jdk bin폴더]\java.exe" 파일명 ex) Hello (확장자 x)

ㄴ 환경변수 설정을 통해 [jdk bin폴더] 부분 생략가능 : 시스템 변수를 수정하고 맨 앞에 추가할 것.

- JAVA_HOME을 통해 JDK가 설치된 폴더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.

Hello.java -> [ javac.exe, 컴파일러 ] -> Hello.class -> [ java.exe, JVM ] -> 실행

[Source File]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[Byte File]

- 소스파일에 명령어를 작성.자바 컴파일러를 통해 바이트 코드로 변환(완전한 기계어가 아님) -> JVM을 통해 바이트 코드를 실행.

JVM : 바이트코드 + [ 플레이어 or 인터프리터 or 엔진 ]

- 도스상 컴파일러 실행법 : "[jdk bin폴더]\javac.exe" 파일명 ex) Hello.java - 확장자없이 쓸 경우 실행가능한 확장자[com, exe, bat, ...]를 사용하여 찾아보고 실행가능한 것이 있는지 확인함.


vs 코드 탐명색기 단축키 : ctrl + b

폴더선택 - git폴더, 다중폴더 관리.

vs코드에서 컴파일 : (하단 터미널) javac 파일명.java

vs코드에서 실행   : (하단 터미널) java 파일


class ? classification(분류)의 약자로 코드를 관리하기 쉽게 분류함.

main : 자바 프로그램 실행 시 가장 먼저 실행되는 블록.



##Java version update 후 Eclipse 컴파일러 업데이트 방법

Eclipse 실행 → 상단 메뉴바에서  window → preferences

  1. → installed JREs → Add → standardVM 선택 →  JRE home: C:\Program Files\Java\jdk verInfo 선택

→ default 체크 →  apply

  1. → compiler → compiler complaince level을 jdk verinfo 로 설정


'프로그래밍 > 개발환경 설정 및 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개인 db사용(aws 연동시)  (0) 2018.07.18
이클립스에서 톰캣 사용하기  (0) 2018.05.09
  (0) 2018.05.09
Posted by kingroad

깃 클론생성(로컬 저장소)

git clone [저장소 주소(인터넷)].git


파일 -> 로컬 : Commit(Back-up)

로컬 -> 서버 : Push


! 업로드 하기 전에 사용자정보 등록
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[이메일주소]"
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[이름]"

! 로그아웃방법

제어판- 사용자 계정 및 가족 보호 - 자격 증명 관리자 - 윈도 자격증명 - 일반 자격증명에 git : ..찾아서 제거


업로드 순서

- 클론한 폴더로 먼저 위치를 이동시킨다. (로컬 저장소에 파일 이동)

0) 백업 대상 목록을 작성 : git add [ [대상파일], . ] // .은 존재하는 모든 파일을 대상으로 함.

1) 로컬 저장소에 파일을 백업한다.(파일 이동) : git commit -m '[백업사유]'

2) 서버 저장소에 업로드(푸쉬)한다. : git push



  • git 커밋 되돌리기

  • git log로 히스토리를 본 후 직전의 헤드 넘버?를 찾는다.

  • git reset [--option] 헤드넘버 로 되돌아간다.

  • option : hard - 이전 로그 이후에 존재하는 파일까지 지워버림, soft - 파일은 남김


'프로그래밍 > 개발환경 설정 및 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개인 db사용(aws 연동시)  (0) 2018.07.18
이클립스에서 톰캣 사용하기  (0) 2018.05.09
Java  (0) 2018.05.09
Posted by kingroad
이전버튼 1 2 3 4 이전버튼

블로그 이미지
개발자를 꿈꾸는 코린이 입니다
kingroad

태그목록

공지사항

Yesterday
Today
Total

달력

 « |  » 2025.5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
최근에 올라온 글

최근에 달린 댓글

글 보관함